티스토리 뷰

Music

POE - [BURNOUT]

빨간부엉이 2011. 7. 17. 02:00


POE - [BURNOUT]
2010 / woman and mans


List

1. around (intro)
2. fall
3. take it easy
4. help
5. paper cup
6. paper cup (producer ver)

바야흐로 경연 프로그램 전성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은 TV를 아주 외면하고 살아가는 일부 계층을 제외한다면 그 중 한 프로그램이라도 보지 않고 살긴 무척 힘든 상황(?) 속에 살고 있는 셈이다.
난 TV가 없으므로 제 시간대의 방송을 보진 못하지만 다운로드를 이용하여 챙겨보는 현재 경연 프로그램은 무려 네 개나 된다. <나는 가수다>, <코리아 갓 탤런트>, <키스&크라이>, <TOP밴드>

<나는 가수다> 의 인기가 내 맘 속에서 급격히 식어가는 속에서 처음엔 유치하게 시작했던 <TOP밴드> 의 진정성이 점점 더 돋보이는 기분이다. 아무래도 클래식같은 것보다는 아직 내겐 밴드 음악과 락 음악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식지 않았슴을 반증하는 증거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TOP밴드> 는 글을 적고 있는 현 시점 (7월 16일 토요일 오후) 에서 24개 팀을 고르는 2차 예선이 3주간의 방송을 마친 상태다. 오늘 밤 본 방송은 담 주에나 볼 수 있겠지만..
어쨌거나 <TOP밴드> 를 보며 눈과 귀를 사로 잡았던 팀이 세 팀이 있다. 게이트 플라워즈와 TOXIC, 그리고 오늘 소개 음반의 POE다.

POE의 음악은 방송에서만 봤을 때 정말 독특한 느낌을 주었던 것 같다. 대중음악이 갖는 장르적 관습성 같은 것은 애초에 의미를 두지 않는 듯한 연주와 퍼포먼스, 그리고 내밀한 정서를 자극하는 사운드의 질감. 무엇하나 예사롭지 않았다. 오죽하면 1차 예심때 심사위원으로 배석했던 체리필터의 보컬 조유진은 그들에 대한 심사평에 '천재' 라는 표현을 했을까..
POE는 현재 홍대 인디씬에서 활동하는 팀으로 한 장의 EP를 발매한 상태다. 자주제작한 음반이며 아쉽게도 정식 음반이 아닌 CD-R에 음원을 카피하여 배포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방송을 보고 이들의 음악을 꼭 들어보고 싶었는데 음악CD가 아니란 것이 크게 발목을 잡았었다. mp3라도 구해서 들어보고 싶었지만 그도 여의치 않았다.
그러던 것이 음반 판매 사이트에서 홍보용으로 40초 정도씩 앞부분을 들려주는 곡들이 있는데 그 사이트에서 POE의 EP [BURNOUT] 의 두 번째 곡 'fall' 의 앞 부분 20초 정도를 듣고 재생을 중지시켰다. 그리고 바로 음반을 구입했다. 그 짧은 감상만으로도 충분했던 것이다. 이것은 반드시 구입해서 들어야 할 음반이었던 것이다. 포맷따윈 중요한게 아니었다.

POE가 갖는 독특함의 기본적 원천은 겉으로 보여지는 보컬 물렁곈의 특별함에 있는 것 같다. 만화 캐릭터 같은 외모에 말할 때의 독특함, 공연 때의 혼이라도 불사르는 듯한 진지함. 자우림의 김윤아를 연상시켰다. 록 밴드의 프론트우먼으로 노래를 부르고, 대부분의 곡을 만들고 밴드의 외향적 정체성을 결정짓는.. 거기에 더해 물렁곈은 건반연주로 3인조 밴드의 사운드 핵심까지 도맡고 있다. 과거 록밴드에 있어서 최고 구성은 3인조 구성의 슈퍼트리오를 최고로 꼽았지만 POE는 거기서 한걸음 비껴서있는 슈퍼 트리오인 셈이다. 록음악을 하면서 기타를 배제하는 과감함이라니..

하지만 EP를 감상해 본 결과 POE의 사운드적 정체성을 확립시키는데 기타를 배제했던 것은 적절한 선택처럼 들렸다. 물렁곈의 작곡 스타일과 추구하는 곡의 지향점을 향해가는 무겁고 헤비한 느낌을 주기위해선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다. 둔중한 베이스음과 드럼 사운드, 그리고 부족한 것은 건반연주와 프로그래밍 사운드로 커버한다는 전략은 기타의 부재함을 느끼기 힘들게 하는 의도적 사운드의 합치속에서 빛을 발한다.
단점이라면 가사 전달력이 심하게 떨어진다는 점을 꼽고 싶다. 마지막 곡 'paper cup' 을 제외하면 나머지 곡들에선 부클릿에 적힌 가사를 보지 않고선 뭐라고 노래하는지 알기 힘들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정서를 끌어내고 몽환적 공간을 창조하고자하는 POE의 음악에서 가사의 명확한 전달은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되지만 POE가 좀 더 대중적으로 알려지고 커 나가기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하고 싶었다.
인터넷의 짧은 감상으로도 충분한 감동을 주었던 'fall' 뿐만 아니라 중간 곡들인 'take it easy', 'help'에서의 번뜩이는 곡 전개능력과 소리로 전달되는 예리한 통찰력의 세계를 함께하기를 권하고 싶다. 매우 대중적인 마지막 곡 'paper cup'은 디렉터스 컷으로 감상하길 권해본다.

나는 전문음악 리뷰어도 아니고, 나의 정서에 일치하는 음반과 가수, 밴드를 지지하며 지지하는 그들의 음반을 사서 듣는 것만으로 소박하게 지지함을 행동하는 개미인 셈이다.
그렇기에 전문 음악인들이 <TOP밴드> 에서 어떤 팀의 손을 들어줄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프로그램의 마지막 시간에 최종 무대에 남는 것이 내 마음을 사로 잡았던 세 팀 (게이트 플라워즈와 TOXIC, POE) 중 한 팀이 되기를 희망해본다.

"POE 화이팅!!"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방학 노래 한 곡 감상  (4) 2012.05.16
Taipei Exchanges O.S.T  (3) 2011.08.13
Indian Summer - [S/T]  (2) 2011.05.15
조덕환 - [long way home]  (8) 2011.05.07
カルメン マキ & OZ - [S/T]  (8) 2011.05.0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